IP 주소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P 주소는 인터넷에서 적용되는 내 PC의 통신 주소를 의미하며, 보통 4칸의 3자리 숫자로 구성됩니다(예시: 192.168.100.150). 일반적으로는 IP 주소 입력 없이 랜선이나 와이파이를 연결하면 자동으로 인터넷이 가능하지만, 보안 수준이 높은 회사에서는 IT 담당자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를 직접 입력해야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IT 담당자는 초기 설정을 도와줄 수 있지만, 출장 등으로 인해 IP 주소를 자주 변경해야 할 때마다 지원을 받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직장인으로서 IP 주소를 입력하고 변경하는 방법을 알고 있으면 업무를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인터넷이 안 될 때 해결 방법을 찾는다면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 인터넷, Wi-Fi 안될때 해결법 : https://m-sooriya.tistory.com/746
IP 주소 입력하기
1) .
[어댑터 옵션 변경]을 클릭해 주세요.
와이파이와 랜선 사용 여부에 맞는 아이콘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 속성]을 선택하세요.
.
.
4)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을 선택하고 [속성]을 클릭합니다.
여기부터는 와이파이, 랜선 구분 없이 방법이 동일합니다.
보통 [다음 IP 주소 사용] 및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으로 선택되어 있습니다.
IT 담당자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를 입력하고 [확인]을 눌러 완료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평점을 남겨주세요
아직 해결이 안됐거나 불편한 사항이 있다면 아래에 적어주세요
제 메일로 전송되며 즉시 개선토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