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로그인 암호가 기억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오래된 컴퓨터나 퇴사한 사람의 PC에서 포맷하지 않고 암호만 제거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비용 없이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니 본문의 내용을 참고하세요.
..
PIN 번호나 MS 로그인 계정을 찾는 방법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 로그인 암호 찾기 (PIN 번호) : https://m-sooriya.tistory.com/825
▶ 로그인 암호 찾기 (MS 계정) : https://m-sooriya.tistory.com/826
본 내용은 영상으로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편하신 대로 참고하세요.
윈도우 로그인 암호 찾는 방법
먼저 아래 포스팅에서 소개된 ‘암호 뚫기 프로그램’ (NTPWEdit 0.6)을 USB에 담아오셔야 합니다.
▶ 윈도우 암호 뚫는 프로그램 : https://m-sooriya.tistory.com/90
PC를 재부팅하면서 USB를 꽂아 둔 상태라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날 때 키보드의 아무 키나 눌러 주세요.
윈도우로 바로 부팅되는 경우, [제조사별 부팅 순서 키]를 눌러.
USB에 마운팅된 윈도우 10 설치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부팅하시면 됩니다.
키보드 방향키로 조절한 다음 <ENTER> 키를 누르세요.
▶ PC 제조사별 부팅순서 단축키 : https://m-sooriya.tistory.com/121
윈도우 10 설치 USB로 부팅한 후, 윈도우 설치 화면이 나타나면 .
검은색 도스 화면이 나타나면 Diskpart를 입력합니다.
커서가 두 번 생길 때까지 잠시 기다리세요.
list volume 명령어를 사용하여 USB 드라이브의 문자를 확인하세요.
USB를 구분할 때 조금 헷갈릴 수 있지만, [레이블]의 모델명과 [크기]의 용량을 기준으로 하면 쉽습니다.
저의 경우는 [ESD-USB, 32GB]이므로, Ltr 문자는 E입니다.
DISKPART 모드를 빠져나가려면 확인을 끝낸 후 [exit]를 누르세요.
[Ltr 문자]:를 입력하세요.
PC마다 환경이 다를 수 있으므로 여러분의 [Ltr 문자]에 맞게 진행하세요. 저의 경우는 e:를 입력했습니다.
.
USB에 ntpwed07 폴더가 잘 삽입되었는지 확인하려면 dir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해당 폴더로 이동하려면 cd 명령어를 사용하십시오.
목록을 확인하여 ntpwed07 파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세요.
프로그램을 실행하려면 마지막으로 `ntpwedit64.exe`를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대부분의 윈도우 10은 64비트입니다. 따라서 32비트 환경에서 실행해야 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NTPWedit 0.7 프로그램이 실행되었습니다.
SAM 파일을 선택하려면 아이콘을 클릭하고 [열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여러분께서는 윈도우 계정을 선택하시고 [Change password]를 클릭하십시오.
저는 user의 암호를 변경해 보겠습니다. 제 경우에는 3개의 계정(user, sooriya, koojin)이 있습니다.
새로운 암호를 입력하시고 [OK]를 누르세요.
[Save changes]를 눌러 비밀번호 변경을 완료하신 후, [Exit]를 눌러 창을 닫으세요.
PC를 재부팅한 후 모든 창을 닫고 새로운 비밀번호로 로그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참고로 제가 10년간 엔지니어로 근무하면서 PC 수리 스킬과 Windows 꿀팁을 담아낸 책도 있으니 참고해보세요.
▶ 도서 살펴보기 【컴퓨터 고장! 집에서 혼자 고치는 스킬 & Windows 꿀팁 정복하기】
..
유튜브 구독 후, 카페에 문의주시면 각종 PC 문의를 100% 무료로 도와드립니다.
아울러, 현재 블로그를 즐겨찾기 (CTRL+D) 하시면 PC 문제를 더욱 빠르게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
▶ 단체 카톡방 입장하기 (무료 + 익명) – 게시일 기준 200명
▶ 유튜브 <맨날 수리야> – PC 스마트폰 꿀팁 모음
* 혹시 더 필요한 정보가 있다면, 좌측 상단의 “블로그 내 검색” 또는 아래에 검색어를 입력해보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평점을 남겨주세요
아직 해결이 안됐거나 불편한 사항이 있다면 아래에 적어주세요
제 메일로 전송되며 즉시 개선토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