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조립 PC를 맞추거나 업그레이드를 고려할 때, 메인보드 규격 때문에 고민할 수 있습니다. E-ATX, 표준-ATX, M-ATX, M-ITX 등의 용어가 있는데, 이들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잘못 선택하면 어떤 불편이 있는지를 본문에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메인보드는 사람의 혈관과 신경계에 해당하는 부품입니다.
컴퓨터의 모든 부품을 연결하고 파워 서플라이를 통해 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나와에 출처가 있는 본문의 모든 사진입니다.
이런 메인보드를 사기 위해 여기저기 살펴보면 아래에 적힌 용어들을 마주하게 됩니다.
이는 메인보드의 규격 및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메인보드의 4가지 규격
이 규격(사이즈)은 총 네 가지입니다.
– E-ATX.
.
– Micro-ATX (M-ATX)는 컴퓨터 메인보드의 폼 팩터 중 하나로, 크기가 ATX보다는 작습니다.
– Mini-ITX (M-ITX)는 소형 폼 팩터 마더보드 표준 중 하나입니다.
존재하며, 외형과 크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메인보드 사이즈가 작아지면 본체 케이스의 크기도 작아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케이스와의 호환성이 가장 큽니다.
큰 케이스를 사용하면 다양한 크기의 메인보드를 지원하므로 선택의 폭이 넓어집니다.
이 케이스의 스펙을 확인하면 [ 표준-ATX / Micro-ATX / Mini-ITX ] 모두 지원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케이스 큰 것이 좋을까?
빅타워 케이스가 가장 크면 모든 메인보드를 지원합니다.
케이스가 가장 작을 경우 (미니 ITX, 리틀밸리)에는 Mini-ITX 메인보드만 지원됩니다.
큰 케이스가 좋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각 선택에는 장단점이 있으므로 자신의 상황에 맞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케이스가 크면 통풍이나 확장성에 유리하지만
공간 낭비가 심하고 가격이 다소 높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작은 케이스일수록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공간 활용성이 매우 높습니다.
내부 공간이 좁아서 통풍이나 확장성에는 불리한 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최고사양의 게임이나 그래픽, 영상 같은 전문 작업을 주로 하시는 경우에는 “빅타워”를 선택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사무용이나 인강용으로는 Mini-ITX를 고려해 보시는 게 좋겠습니다.
크기나 가격이 부담스러우시다면 “미들타워”를 선택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메인보드의 규격과 케이스의 호환성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평점을 남겨주세요
아직 해결이 안됐거나 불편한 사항이 있다면 아래에 적어주세요
제 메일로 전송되며 즉시 개선토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