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포맷한 후에는 유무선 랜 드라이버 등을 반드시 설치해야 합니다. 수동으로 설치하기는 매우 번거로워 자동 설치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드라이버가 랜카드뿐만 아니라 메인보드, 블루투스, FN키 등 여러 종류가 있어서, 이를 제조사 공식 홈페이지에서 하나하나 수동으로 다운받아 설치하는 것이 귀찮습니다.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3DP NET과 그 사용 방법을 오늘 소개드립니다.
드라이버들을 설치하지 않았을 때 증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보통, 포맷 후에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거나 WIFI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랜선 또는 WIFI 드라이버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바탕화면 아이콘이 커져 보입니다 (그래픽 드라이버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그래픽 드라이버가 설치되지 않아 해상도 조절이 어렵습니다.
사운드 드라이버가 미설치되어 소리가 들리지 않습니다.
윈도우10은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설치하거나, 최소한의 설정만 조작하면 설치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윈도우7의 경우는 설치 과정이 거의 수동으로 이루어져 불편함이 있습니다.
윈도우10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드라이버를 재설치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보세요.
윈도우10에서 유무선 랜 드라이버와 그래픽 드라이버를 간단하게 설치하는 방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3DP Net은 해당 PC에 설치하면 모든 기종의 랜 드라이버 폴더를 생성합니다.
해당 PC에 맞는 랜드라이버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설치하는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인터넷 없이도 랜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설치 후에는 용량 확보를 위해 지워야 하는 한계가 있습니다.
3DP Net 랜드라이버 사용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
인터넷 연결이 안 되는 상황이라면, 방문하셨습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하십시오!
※ 3DP Net으로, 컴퓨터, 노트북 랜드라이버 자동설치하는 방법
랜선 드라이버 설치 방법만 설명하며, Wi-Fi 드라이버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우선, 3DP Net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공식홈피의 링크에서 [최신 버전 다운 – 윈7이상만 지원]을 클릭하여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세요.
https://www.3dpchip.com/3dp/net_down_kor.php
다운받은 3DP Net을 설치합니다.
주황색 실행화면이 나올 때까지 계속해서 ok 버튼을 눌러 진행하십시오.
녹색 플러스 아이콘 “+”을 누르신 후, 랜드라이버를 선택하고 설치하세요.
유선랜드라이버 설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녹색 플러스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우측에 wireless ~ / realtek, PCI-E부분이 나타납니다. realtek 부분을 클릭하세요.
노트북은 wireless가 있지만, 일반 데스크탑은 realtek만 나옵니다.
이렇게 해서, 컴퓨터 랜드라이버 설치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3DP Net을 사용하면 간단하게 유선랜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PC 기종이나 환경에 따라 3DP Net으로 설치가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종종 오류가 발생하거나 설치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조사 공식 홈페이지에서 해당 모델명, OS, 비트에 맞는 드라이버를 수동으로 다운받아 설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아 참고로 필자는 현직 엔지니어로, 10년 이상의 PC 노하우를 블로그, 유튜브로 올리고 있습니다.
유튜브를 구독하시면, 각종 PC 문제를 100% 무료로 도와드리니까, 꼭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현재 블로그를 즐겨찾기 (CTRL+D) 하시면, PC 문제를 더욱 빠르게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
▶ 유튜브 <맨날 수리야> – PC 스마트폰 꿀팁 연구소
* 혹시 더 필요한 정보가 있다면, 좌측 상단의 “블로그 내 검색” 또는 아래에 검색어를 입력해보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평점을 남겨주세요
아직 해결이 안됐거나 불편한 사항이 있다면 아래에 적어주세요
제 메일로 전송되며 즉시 개선토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