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정품키의 종류와 각 라이선스의 특징 및 장단점 분석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윈도우 정품키 라이선스의 여러 종류에 대해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에는 FPP, ESD, DSP, OEM 네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윈도우 정품키 종류와 라이선스 특징 분석: 장단점 완벽 정리

FPP(Full Packaged Product)는 실물 박스에 설치용 USB와 제품 키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구입은 온라인 또는 총판, 리셀러를 통해 가능합니다.

메인보드나 PC를 교체할 때 제품키가 있으면.

해당 라이선스를 이용하면 정품 인증 후 재설치가 가능합니다.

윈도우 정품키 종류와 라이선스 유형별 특징 및 장단점 분석하기

ESD (Electronic Software Distribution)는 온라인에서 구매한 제품으로,

라이선스를 구매 후 이메일로 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FPP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며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정품키의 다양한 종류와 라이선스 특징, 장단점 완벽 가이드

   
   

DSP (Delivery Service Pack)는 COEM이라고도 불리며, 윈도우 라이선스가 최초 인증된 메인보드에 귀속되어 사용되는 라이선스입니다.

특정 컴퓨터의 하드웨어에 귀속되어 있는 라이선스 키는 메인보드를 교체하면 사용이나 재설치가 불가능합니다.

노트북 설치 시에만 가능한 소매 제조 업체의 상업용 라이선스입니다.

윈도우 정품키 종류와 라이센스 특징 분석, 장단점 정리하기

마지막으로 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은 COEM과 비슷한 성격의 라이선스로,

   
   

PC 제조사의 브랜드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판매되는 라이선스입니다.

PC 제조사를 통해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윈도우 정품키 종류와 라이선스별 특징, 장단점 완벽 가이드

따라서, 소프트웨어 제품을 구매할 때는 이러한 유형을 고려하여 적절한 제품을 선택하고

라이선스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평점을 남겨주세요

328명 참여 (4.3/5)

아직 해결이 안됐거나 불편한 사항이 있다면 아래에 적어주세요

제 메일로 전송되며 즉시 개선토록 하겠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