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외장 그래픽 카드를 구매하거나 업그레이드할 때는 가격뿐만 아니라 모델명과 호환성을 잘 확인해야 후회 없는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스펙이나 사양에 대한 용어를 알고 있으면 더 합리적으로 만족스러운 구매가 가능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스펙과 사양의 용어를 설명합니다. 다른 부분도 필요하다면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조립 PC를 맞추시거나 견적에 관심이 있다면 아래 영상을 확인하시면 좋습니다.
CPU나 그래픽카드의 순위나 모든 부품의 모델명, 호환성을 확인해야 할 경우, 컴퓨터 부품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이용하면 됩니다. 이러한 사이트에서는 다양한 부품의 성능 비교와 상호 호환성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부품을 선택할 때는 각 부품의 사양과 지원 칩셋을 확인하여 호환성을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하다면, 서로 호환되는지를 확실히 하기 위해 제조사의 공식 문서나 가이드를 참고할 수도 있습니다.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 CPU, 그래픽카드 순위 & 모델명, 호환성 보는법
이제 하나씩 스펙을 설명드리겠습니다.
.
..
.
이번 포스팅은 [제품명]이 아닌 [스펙]에 초점을 맞추는 내용입니다.
.
나노미터는 미터의 10억분의 1 크기입니다.
그래픽카드 제조공정에서는 그래픽카드 내부에 위치한 회로의 굵기나 두께를 의미합니다.
전자 이동 거리는 회로의 굵기가 얇을수록 짧아집니다.
그래픽카드의 성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는 이유는 전력 소모가 감소하고 그래픽카드 발열량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회로가 얇아질수록 그래픽카드의 제한된 크기 내에 더 많은 회로를 배치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성능은 회로가 많아지면 향상될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럭.
그래픽카드의 동작 속도를 의미하는 것이 클럭입니다.
..
NVIDIA는 최소 부스트 클럭을 보장해드립니다.
AMD는 최대 부스트 클럭을 보장되는 클럭으로 표시합니다.
지포스와 라데온의 성능을 비교할 때, 위의 캡처만을 기준으로 삼지 마세요!
금액 차이가 큰 만큼 성능 차이도 큽니다. 지포스나 라데온 상관없이.
.
스트림 프로세서를 선택할 때는 애플리케이션의 요구 사항과 일치하는지 잘 고려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배포 환경이나 사용량도 함께 검토해 보세요. 다양한 옵션이 있으니, 적절하게 선별하여 최적의 성능을 얻으시기 바랍니다.
그래픽카드 내부에는 그래픽 처리를 담당하는 유닛이 있습니다.
같은 제조사 제품이라면 수량이 많을수록 좋습니다.
칩 설계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제조사가 다른 경우 ‘스트림 프로세서’만으로 성능을 비교하기 어렵습니다.
PCIe 5.0 / PCIe 4.0 / PCIe 3.0 x 16에 대해 알아보세요.
그래픽카드가 메인보드에 장착되는 칩 부분의 인터페이스 버전과 레인 수입니다.
버전은 3~5이며, x16도 버전에 포함됩니다.
버전과 레인 수가 높을수록 성능이 향상됩니다.
일반적으로는 레인수가 32부터 슬롯이 너무 길어져서 x16까지 출시됩니다.
현재는 PCIe 4.0 버전이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고려해야 합니다.
메인보드와의 중요한 호환성이 있는 만큼, 최대한 같은 버전의 같은 레인 수에 맞춰 장착하는 것이 좋습니다.
버전과 레인수가 맞지 않으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존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설명이 깁니다!
https://m-sooriya.tistory.com/944
..
일반 PC에서 사용되는 RAM과 마찬가지로
GDDR은 그래픽카드에 특화되어 설계된 RAM입니다.
RAM에는 DDR1부터 DDR5까지의 버전이 있습니다.
현재 GDDR은 6까지 버전이 존재합니다.
PC 메모리의 8GB, 16GB처럼 GDDR에도 용량이 있으며, 이러한 용량이 모델명 뒤에 표시된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정격 파워.
그래픽카드를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이건 스펙이 아니에요.
권장되는 파워 서플라이의 용량을 기준으로 고려하시면 됩니다.
750W 이상으로 적혀 있지만, 이는 “그래픽 카드”에 국한된 용량입니다.
당연히 PC 구동에 필요한 어느정도의 용량까지 고려했겠지만,
지포스 RTX 3070을 사용하신다면 고사양 게임 용도가 많으실 것 같습니다.
CPU, RAM, SSD, 메인보드로 공급되는 전력도 많을 것입니다.
듀얼 모니터, LED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등의 주변기기도 전력을 많이 소모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가 가끔씩 꺼지거나 부팅이 안될 수 있습니다.
정격 파워보다 50~100W 여유 있게 장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RTX 3070을 사용하는 경우, 800~850W 정도의 용량이 안전합니다.
보조전원 포트입니다.
고사양 그래픽 카드는 메인보드로부터 받는 전력만으로는 부족해서 추가적인 전력 공급이 필요합니다.
파워 서플라이에서 직접 전력을 받을 수 있도록 보조전원 포트가 있습니다.
.
그래픽카드의 보조 전원 포트는 16핀 (8+8)입니다.
파워 서플라이 커넥터는 12핀 (6+6)이라 부족합니다.
6핀 to 8핀 젠더를 통해 파워 서플라이 커넥터를 12핀에서 16핀으로 바꾸는 것도 가능합니다.
그 정도면 아마 파워 서플라이가 구형이거나 용량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파워 서플라이도 새로 맞추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사양에서 [전원 포트 : 8핀 x2개]라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로 길이는 늘리실 수 있습니다.
케이스와의 호환성에서 이 부분은 스펙보다 중요합니다.
그래픽카드가 너무 길면 본체 케이스에 장착되지 않을 수 있으니 꼭 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방법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
그 외의 사항들은 어렵게 설명하지 않고 가볍게 보시면 됩니다.
그래픽에서 출력단자로 HDMI 2.1과 DP 1.4가 지원됨을 알 수 있습니다.
.
제품 페이지 하단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높은 사양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으면 제로 팬의 경우 쿨러의 동작을 멈춥니다.
소음과 전력을 줄일 수 있는 기능입니다.
8K와 4K 해상도를 지원하려면 출력되는 모니터도 8K 또는 4K가 되어야 합니다.
일반 FHD(1920×1080) 해상도도 당연히 출력됩니다. 하지만 FHD로만 사용하기엔 많이 아깝습니다.
그래픽카드의 휨이나 외부 충격을 어느 정도 방지해주는 백플레이트가 있습니다.
LED 라이트, AURA SYNC, HDR, DUAL BIOS와 같은 기능적인 부분은 참고하시면 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평점을 남겨주세요
아직 해결이 안됐거나 불편한 사항이 있다면 아래에 적어주세요
제 메일로 전송되며 즉시 개선토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