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에서 빈셀과 내용 있는 셀을 세는 COUNT, COUNTA, COUNTBLANK 함수 활용법

 
 

엑셀에서 작업할 때, 내용이 있는 셀의 개수를 세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빈 셀의 개수를 세거나 내용이 없는 셀을 카운트해야 하는 상황도 발생합니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함수는 총 3가지입니다.

엑셀에서 빈 셀과 내용이 있는 셀 수를 쉽게 세는 COUNT, COUNTA, COUNTBLANK 함수 사용법 안내

엑셀 셀 개수 카운트 함수를 사용한 아래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엑셀에서 빈 셀과 데이터가 있는 셀을 세는 COUNT, COUNTA, COUNTBLANK 함수 활용 가이드

시험 대상자는 총 10명이며, 이 중 응시자는 7명이고 미응시자는 3명입니다.

맨 위의 응시자 수가 5명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엑셀에서 내용이 있는 셀 개수와 빈 셀을 세어주는 세 가지 함수를 소개합니다.

숫자만 입력된 셀의 개수를 반환합니다.

범위 내에 있는 셀 중 내용을 가진 셀의 개수를 반환합니다.

범위 내에 아무것도 입력되지 않은 빈 셀의 개수를 반환합니다.

눈치 빠른 분들은 아실 것입니다.

맨 위 5명의 응시자 수를 계산할 때 COUNT 함수를 사용하여 “만점”이라고 표시된 시험 점수는 제외됩니다.

5명의 응시생만 숫자 점수로 표시되었습니다.

엑셀에서 빈 셀과 내용 있는 셀 세는 방법: COUNT, COUNTA, COUNTBLANK 함수 활용 가이드

   
   

숫자, 문자 구분 없이 셀에 입력된 내용을 모두 세는 COUNTA 함수는 입력된 셀의 갯수를 반환합니다.

따라서 7이 반환됩니다, 빈 셀을 제외한 셀의 개수를 모두 센 것입니다.

현재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으며, 10년 이상의 PC 노하우를 블로그와 유튜브에 공유하고 있습니다.

PC 관련 문의를 100% 무료로 도와드립니다. 아래 SNS를 활용해 보세요.

▶ PC 고장 문의 게시판

▶ PC 꿀팁 카페 (네이버)

▶ 유튜브 <PC 꿀팁 받기>

   
   

▶ 유튜브 <컴맹 탈출 강좌>

엑셀에서 빈 셀과 내용이 있는 셀 세는 법: COUNT, COUNTA, COUNTBLANK 함수 활용하기

셀 중에서 마지막으로 비어 있는 셀의 개수를 반환하는 함수는 COUNTBLANK입니다.

빈 셀의 개수가 3이라는 것입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평점을 남겨주세요

328명 참여 (4.3/5)

아직 해결이 안됐거나 불편한 사항이 있다면 아래에 적어주세요

제 메일로 전송되며 즉시 개선토록 하겠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