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정품인증을 위해서는 라이선스를 구매하셔야 합니다. ‘그냥 제품키 하나 사면 되는 거 아니야?’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종류가 생각보다 다양합니다.

모두 잘 아시는 윈도우 버전으로는 주로 윈도우 11, 10, 8, 7, XP, 2000 등이 있습니다.
Windows [숫자] Professional, Home, Education 등으로 다시 나누어집니다.
이는 제품의 종류입니다.
제품이 정해졌다면, 적절한 라이선스를 선택해야 합니다.
FPP, DSP, OEM, ESD 등 다양한 라이선스 종류가 있습니다.
여기까지에 대한 자세한 차이점과 설명은 기존 포스팅으로 대체하겠습니다.
▶ 윈도우 라이선스 차이점 자세히 보기 (Pro, Home… / FPP, DSP, OEM… 등 차이점)
리테일, 볼륨, OEM의 차이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윈도우 라이선스 ‘리테일키, 볼륨키, OEM’키의 차이점
.
가장 비싼 가격으로 판매되는 윈도우가 개인 소비자용입니다.
PC 업그레이드나 교체 후에도 언제든지 다시 인증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개의 PC를 인증할 수 없으며, 가장 마지막으로 인증된 PC만 인증됩니다.
인터넷 인증에는 횟수 제한이 있으며, 이를 초과하면 ARS로 요청해야 합니다.
.
기업에서는 대량으로 구매하는 제품을 보통 볼륨 라이센스라고 부릅니다.
.
PC방 사장님께서는 아마 이 볼륨버전 윈도우를 구매하셨을 것입니다.
MS 공식 사이트에서 이 VLSC 버전의 구매 및 관리가 가능합니다.
https://www.microsoft.com/Licensing/servicecenter/default.aspx
.
컴퓨터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업체에서 계약한 키입니다. 예를 들어 삼성 PC 10만 대를 팔 때 제공되는 키입니다.
특정 브랜드 PC에만 한정되며, 개인 구매는 불가능하고 B2B 형식으로 대기업에만 판매됩니다.
제조나 유통과정에서 제조사와 메인보드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인증된 경우도 있습니다.
개인 소비자에게 SW 플랫폼을 통해 판매하기도 합니다.
네이버나 쿠팡 등에서도 쉽게 보실 수 있습니다.
PC를 교체하시면 메인보드와 연동되어 새로 구매하셔야 합니다.
메인보드를 제외한 업그레이드나 포맷은 재인증 가능합니다.
리테일, 볼륨키, OEM키 확인 방법
라이선스 종류를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시작 메뉴에서 [Windows PowerShell]을 클릭하세요.

3) 이후에 [slmgr /dlv]를 입력한 후 Enter를 누르시기 바랍니다.
제품 키 채널을 확인하시면 라이센스 초기화 횟수 등이 나옵니다.
리테일 분야에 관련된 내용을 참고해 보세요.

▼ 볼륨키의 경우 (Volume:GVLK)
[볼륨 정품 인증 만료] 시간이 있는 경우 정상적이지 않으므로 구매처에 문의하셔야 합니다.

.

라이선스 종류 확인 방법을 여기까지 알아보았습니다.
.
파워쉘을 표시한 다음,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
컴퓨터가 영구적으로 정품 인증되었습니다. 이제 정상적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평점을 남겨주세요
아직 해결이 안됐거나 불편한 사항이 있다면 아래에 적어주세요
제 메일로 전송되며 즉시 개선토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