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인터넷이 작동하지 않을 때 간단한 기초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넷이 안되는 경우는 주로 세 가지로 나뉩니다. 완전히 연결되지 않거나 지속적으로 끊기는 경우, 속도가 느린 경우, 특정 사이트에 접속이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번 글에서는 “인터넷이 완전히 안될 때” 해결법에 초점을 맞추겠습니다.
인터넷이 안 되는 원인과 해결 방법이 다양해서, 사진과 글보다 동영상이 더 편리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영상도 한 번씩 참고해보시면 좋습니다.
01 전원, 랜선 연결 확인하기
가장 쉬운 경우입니다.
멀티탭 전원이 꺼져있다면 켜주고, 전원 케이블, 랜선이 빠져 있으면 다시 꽂았을 때 대부분 해결될 것입니다.
반대로 전원이 켜져있어도, 케이블들이 미세하게 빠져있을 수 있기에
모든 전원 케이블과 랜선을 뺐다가 다시 꽂아보세요.
02 모뎀, 공유기에 꽂힌 랜선 확인하기
이번에는 메인 랜선이 메인 포트가 아닌 하위 포트에 꽂힌건 아닌지 확인합니다.
보통, 벽에서 나온 메인 랜선을 모뎀의 [메인 포트]에 꽂고,
모뎀의 [하위 포트]에서 나온 랜선을 공유기의 [메인 포트]에 꽂은 다음,
그 밑으로 TV 셋탑박스나 PC를 사용하는 구조가 기본 형태입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모뎀과 유무선 공유기 기능이 1대로 통합된 경우도 있습니다.
* 메인 포트 : 인터넷, WAN 또는 3개 점 ( ∴ ) 모양의 노란색 포트
* 하위 포트 : LAN 또는 점 (.)으로 적혀있다.
03 본체에 꽂힌 랜선 확인하기
가끔 PC에서 랜선이 빠지는 경우가 있는데, 다시 꽂으면 대부분 해결되니 쉬운 경우입니다.
멀쩡해보여도, 미세하게 빠져 있을 수 있어서 뺐다가 다시 꽂아 보세요.
04 랜선 고리 파손 확인하기
혹시 아래 사진처럼, 랜선 끝부분의 플라스틱 고리가 파손되어 있다면 랜선을 즉시 교체 해주세요.
PC 랜포트에 꽂았을 때, 안빠지게 고정시켜주는 부분인데, 이대로 쓰면 계속 빠지게 됩니다.
랜선은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PC와 공유기에 연결된 기존 랜선을 뽑아 신규 랜선을 꽂아주시면 됩니다.
TIP : 투명한 플라스틱 부분의 정확한 명칭은 RJ45 커넥터이며, 이 부분만 교체하고 싶다면
1) 피복을 벗겨 새로 만들거나
2) 커버를 씌우는 방법이 있는데 초보자는 어려울 수 있으니 랜선 교체를 권합니다.
직접 교체에 도전해보고싶다면 카페 게시판을 참고해보세요.
* RJ45 커넥터 교체 방법 : 주소~~~
05 랜선 케이블 파손 확인하기
랜선 상태가 안좋거나, 케이블 중간중간 찍힌 부분이 있는지 체크해보세요.
선이 길수록 책상이나 각종 가구 등에 찍혀 내부 전선이 절단됐을 수 있습니다.
이제 윈도우 설정으로 넘어가야 합니다.
지금부터 난이도가 올라갑니다. 맨 위의 영상을 확인하시거나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평점을 남겨주세요
아직 해결이 안됐거나 불편한 사항이 있다면 아래에 적어주세요
제 메일로 전송되며 즉시 개선토록 하겠습니다!